티스토리 뷰
목차
I. Form 13F란 무엇인가: 월가 큰 손들의 투자 공개
월가 내 최소 1억 달러( 약 1,450억 원) 이상의 자산 관리를 하는 투자기관들은 매 분기 마감 이후 45일 이내에 분기별 보유 주식 현황을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이것이 소위 말하는 'Form13'입니다. 다른 말로 13F라고도 불리는 공시자료입니다. 자산운용사와 은행, 보험회사, 신탁사, 연기금 등 수많은 기관들이 이를 제출해야 하며, 여기에는 매 분기 동안의 모든 매수, 매도 내역 및 상세 포트폴리오 현황이 들어갑니다. 보다 상세한 Form13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운용자산 규모 1억 달러 이상 기관들이 SEC에 제출해야 하는 공시자료
. 매 분기마다 끝난 후 45일이 지나기 전에 제출
. 해당 분기에 대한 모든 증권 매매, 포트폴리오 현황 기재
. 공시 의무로 지정된 기업들에 대한 매매와 보유 내역을 모두 공개
중요한 점은 각 분기가 종료된 이후 45일이 지나기 전에만 이 자료를 제출하면 된다는 점입니다. 즉, 실제 투자시점과 해당 내용이 대중에게 공개되는 시점은 어느 정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시장을 복기하거나 시장 대응법을 배우기에, 그리고 월가의 큰 손들이 어디에 투자하고 있는지 공부하기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거대 기관들의 포트폴리오와 섹터별 비중을 보며 우리 투자의 아이디어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럼 오늘은 월가의 큰 손 중의 큰 손, 워런 버핏이 운용하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서 투자의 아이디어를 얻어볼까요?
II. 버트셔 해서웨이 포트폴리오: 워렌 버핏의 2024년 4분기 상위 종목 분석
현존하는 최고의 가치 투자가 워런 버핏 (Warren Buffet) 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 (Berkshire Hathaway) 전체 포트폴리오의 +89.72% 투자 비중을 대변하는 상위 10권 주식들에 대한 투자 현황은 아래 테이블과 같이 요약됩니다.
1) 애플 (AAPL): 워런 버핏의 애플 기업에 대한 무한 투자 사랑은 이미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정평이 난 팩트이겠으니, 애플은 여전히 버크셔 해서웨이 포트 랭킹 1위를 차지중입니다. 지난 2016년 1분기 초기 매수 시점부터 현재까지 평균 매수가 ($39.6달러) 로서 이는 이번 2024년 4분기 13F 보고서가 발표된 2025년 2월 14일 실제 주가 ($244.6달러) 대비 +517% 양호한 주가 수익률을 안겨주는 애플 주식입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속적으로 기존 보유해 온 애플 주식에 대한 부분매도 전략으로 한때 +5.3% 애플 기업 지분을 확보했던 버크셔 해서웨이는 최근 들어 +1.98% 로 애플 기업 지분율이 감소 중입니다.
2) 뱅크 오브 아메리카 (BAC): 상위 10위권 주식들 중 유일한 부분 매도 활동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를 -14.52% 감소 결정)이 관찰되는 미국 최대 금융 & 은행 기업, 뱅크 오브 아메리카 주식입니다.
3) 옥시덴탈 페트롤리움 (OXY): 상위 10위권 주식들 중 에너지 관련주들로 분류되는 포트 랭킹 5위 쉐브론과 포트 랭킹 6위 옥시덴탈 페트롤리움 주식이며, 이번 2024년 4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 상위 10권 주식들 중 유일한 추가 매수 활동 (지난 분기 대비 보유 주식 수 +3.49% 늘림)이 관찰되는 옥시덴탈 페트롤리움입니다. 비록 평균 매수가 $50.4달러 대비 실제 주가 $48.1달러로 -5% 주가 손실률을 경험 중이겠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주가 약세를 기회로 삼은 지속적 추가 매수 전략이 관찰되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대표 에너지 관심 기업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4) 크래프트 하인즈 (KHC):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이 없다”는 속담은 부모가 자식들을 공평하게 대한다는 의미로 자주 사용되는 속담이겠습니다만, 워런 버핏 입장에서 조금은 안쓰럽게 느껴질 크래프트 하인즈 기업입니다. 지난 2015년 7월 글로벌 최대 포장 식품 브랜드 기업 크래프트 푸드 그룹 (Kraft Foods Group)과 글로벌 최대 케첩 브랜드 기업 하인즈 홀딩스 (H.J. Heinz Holding) 기업 간 추진된 ‘세기의 기업 M&A’는 현존하는 최고의 투자가 워런 버핏의 높은 투자 지지를 등에 업게 되었으나, 이후 목표했던 M&A 시너지 효과 창출에 실패하면서 현재까지 -62% 이상의 주가 손실률을 경험하면서 버크셔 해서웨이 투자 성적표에 실망스러운 D학점을 받게 만들고 있습니다.
5)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STZ): 이번 2024년 4분기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의 유일한 신규 매수 (new purchase) 종목은 글로벌 최대 주류 (맥주, 와인 등) 브랜드 기업 컨스텔레이션 브랜즈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지난 2024년 12월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가 지불한 평균 매수가 $240.9달러 대비 현재 (2025년 2월 14일 기준) 주가는 -32% 이상 급락한 1주당 $162.9달러에 평가 중이라는 점입니다.
6) 시리우스 XM (SIRI): 글로벌 최대 위성라디오 & 팟캐스트 테마주 시리우스 XM 주식에 대한 버크셔 해서웨이의 최근 지속적 매수 전략이 글로벌 투자 커뮤니티 사이에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상황입니다. 지난 2023년 3분기 초기 매수를 기점으로 매분기 지속적 매수 덕분에 2024년 12월 기준 기업 총지분의 +29.75% (테이블 내 ‘지분율%’ 참고)를 보유한 버크셔 해서웨이의 투자 행보에 SIRI) 기업에 대한 분석 호기심도 생기게 됩니다.
III. 투자 아이디어와 교훈: 월가 거물의 전략 활용법
위의 포트폴리오에서 새롭게 추가된 종목이 있거나, 기존에 보유했던 종목의 비중을 대폭 줄이는 것이 포착된다면 우리 같은 개인투자자에게 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서 위와 같이 소개해드렸습니다.
전 세계 큰 손들의 투자 아이디어를 이렇게 쉽게 우리도 볼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우리가 좋은 시대에 살고 있는지 실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이런 정보들은 개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정보들이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기관들은 상당한 돈을 지불하고 정보를 구매해야 했습니다. 이렇게 좋아진 환경에서 우리는 이러한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이 거물은 왜 이 종목을 팔고, 이 종목을 샀는지 질문해 보면서 우리의 투자 아이디어를 확장해 가면 유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별 종목에서 시작해서 산업까지 확장하여 공부한다면 우리의 투자 안목도 조금씩 성장해가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누군가는 '투자는 자신만의 철학이 있어야 한다'라고 말을 했는데, 주식을 배워가면서 절절하게 동감하는 내용입니다. 장기투자든 단기투자든, 기술적 분석을 우위에 둔 성장주에 중심으로 할 것인지 기본적 분석에 우위를 둔 장기투자에 우선순위를 둘 것인지 자신의 여건과 재능을 살펴서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서 꾸준히 투자의 실력을 키우고 안목을 키워나간다면 개인도 실패하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